Programming/Study - 해당되는 글 4건

http://docs.phonegap.com/en/2.2.0/guide_getting-started_android_index.md.html#Getting%20Started%20with%20Android


터미널을 열고 아래 빨간색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
# IOS와 다른 점은 아래 .bash_profile 을 생성하고 안드로이드 SDK 경로를 환경설정 해주고 있습니다.

1. imac6ui-iMac:~ imac6$ touch ~/.bash_profile <= 현재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위치에 .bash_profile 빈 파일 생성

2. imac6ui-iMac:~ imac6$ cd ~ <= 홈디렉토리 이동

3. imac6ui-iMac:~ imac6$ ls -al | grep .bash_profile <= .bash_profile 파일 생성 확인

-rw-r--r--@ 1 imac6 staff 166 12 11 15:58 .bash_profile <= .bash_profile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.

4. imac6ui-iMac:~ imac6$ open .bash_profile <= 텍스트 편집기로 .bash_profile 파일이 열립니다.

5. 열린 텍스트 편집기의 .bash_profile 에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.

export PATH=${PATH}:/Development/android-sdk-macosx/platform-tools:/Development/android-sdk-macosx/tools

* 안드로이드 SDK(android-sdk-macosx) 설치 위치에 따라서 platform-tools, tools 경로를 지정한다.

6. 텍스트 편집기 파일 > 저장

7. source ~/.bash_profile <= 생성한 .bash_profile의 PATH 환경변수 적용


8. PATH 환경 변수 적용 확인

imac6ui-iMac:~ imac6$ echo $PATH <= 입력 확인

(추가한 platform-tools, tools 경로 확인 )

9. 폰갭 2.2 를 다운받은후  lib->android->bin 폴더로 일단 이동 (터미널창으로 드래그해도 됨)

cd  /Users/imac17/Documents/ePub2Gi/util/phonegap-phonegap-8a3aa47/lib/android/bin

10. 데스크탑에 StickyNote 라는 폰갭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

./create  /Users/imac17/Desktop/StickyNote  com.hanbit.StickyNote StickyNote 

11. 생성한 폰갭 프로젝트를 이클립스에서 선택 생성


12. 생성된 프로젝트의 AndroidManifest.xml 파일에 붉은색 경고 발생될 경우

프로젝트 오른쪽 마우스 >  Properties > Android > Android 4.2 API Target 선택 



13. 이클립스 재실행

14. 프로젝트 오른쪽 마우스 Run As > Android Application 프로젝트 실행

15. 안드로이드 기기 테스트

15.1. 기기 > 환경설정(세팅) > 개발자 옵션(개발자) > USB 디버깅 선택

15.2. 프로젝트 오른쪽 마우스 Run As > Android Application 프로젝트 실행

15.3. 연결된 안드로이드 기기 테스트 선택 OK 실행 완료


      Programming/Study  |  2012. 12. 18. 21:24




먼저 폰갭 생성 실행 파일을 다운 받아야 합니다.

 

http://phonegap.com




ㄴ여기서 다운로드를 누르시고 




폰갭을 다운 받습니다. 보통 Download 폴더로 들어가겠지요?

 

압축을 푼후에 




START 가이드로 갑니다. 




저는 아이폰 개발을 해야하기 때문에 iOS 로 선택~

 

다른 디바이스에 만드실 예정이면 해당 디바이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.





터미널 창을 여시고 

 

폴더를 다운받은 폰갭의 ios/bin 폴더까지 이동해 놓습니다.

 

팁은 터미널 창에서 cd 를 입력하신 후에 해당 폴더를 터미널 창으로 끌어다놓고 실행하면 간단하게 이동~*

 

그리고 생성은 위의 스크린샷 처럼 ./create ~/Desktop/HelloWrold org.apache.HellowWorld HellowWorld 


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.



그러면 이렇게 데스크탑에 생성완료~!

 

 

생성후에 프로젝트를 여시고 이걸 추가해 주셔야 됩니다.

ExternalHosts에 [+]를 누르셔서 * 를 추가해 주셔야 하는데요.

J쿼리나 모바일쿼리에서 사용하는 url들이 전부 깨지는걸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.



이제 index.html에 HelloWorld를 지우고 만들어 놓은 HTML5 코드를 실행~!



이렇게 됩니다. 



 

      Programming/Study  |  2012. 12. 18. 21:13





ViewController.m 에 init 부분을 이렇게 만든 후 xib를 하나더 추가해 줍니다. 아이폰 5용 4인치로...


이런식으로 파일들이 만들어 두고 추가한 xib 설정 File's owner에서



ㄴ Custom Class 부분에 ViewController로 Class 설정을 잡아 줍니다. 

(그래야 같은 아울렛을 2개의 XIB가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음)


ㄴ 그리고 기본 view를 생성해서 연결해 줍니다.


ㄴ xib를 만들어둔 아울렛들과 연결 시켜줍니다. 물론 두 xib 같이요.


ㄴ 이렇게 연결이 됩니다.

 

이렇게 해두면 3.5인치 xib, 4인치 xib 두개다 자동으로 실행이 됩니다. 

      Programming/Study  |  2012. 12. 18. 21:08





이번에 아이폰 5가 해상도 (640x1136 px)로 변경되면서 뷰화면들을 

다시 설정해 줘야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.

 

기존에 프로젝트에는 이미지를 넣을때 

 

image.png , image@2x.png 로 만들어 두면 코딩에 @"image.png"만 넣어도 

아이폰4 시뮬레이터에서 자동으로 @"image@2x.png" 로 읽어 들였는데요.

 

이번에 아이폰 5에서 4인치 해상도로 변경되면서 image-568@2x.png로 변경하면 

들어간다고해서 넣어 보았으나...

 

이건 Default 이미지에만 해당하는 내용이었습니다. 살짝 좌절.... ㅋ

 

하지만! 저희에게는 최고의 서포터가 있지 않겠습니까? 바로!!! 구글링~

 

검색 결과 :  http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12497776/new-image-name-for-iphone-5

 

에서 찾아 내었습니다.

 

정리하자면 먼저 코딩 상단에 #Define으로 해상도를 잡아주고 사용시에 약간의 코딩 수정만 

하면 되는 겁니다.

 

Here we go~!


// iPhone 5 support
#define ASSET_BY_SCREEN_HEIGHT(regular, longScreen) (([[UIScreen mainScreen] bounds].size.height <= 480.0) ? regular : longScreen)

ㄴ여기 까지가 상단에 잡아주는 #define 부분


Usage: (assets names - image.png, image@2x.png, image-568h@2x.png)

ㄴ 이미지를 3개 준비합니다. 순서대로 (아이폰 3, 아이폰4, 아이폰5 )용 이미지들입니다. 



myImage = [UIImage imageNamed:ASSET_BY_SCREEN_HEIGHT(@"image",@"image-568h")];

ㄴ 이미지 사용시 상단에 만들어 두었던 #define을 사용해서 이미지 이름만 넣어주면 됩니다.

 

이것으로 해결~!

      Programming/Study  |  2012. 12. 18. 21:03



어썸's Blog is powered by Daum